저출산 시대라는 말이 무색할 만큼 우리나라 출산율은 OECD 국가 중 최하위 수준이다.
정부에서는 이러한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각종 지원정책을 내놓고 있지만 실질적인 효과는 미비하다.
그렇다면 왜 아이를 낳지 않는 걸까?
또 다른 문제로는 의료계 인력 부족 현상도 들 수 있다. 해마다 수많은 신규 의사들이 배출되고 있지만 정작 산부인과나 소아과 같은 필수 과목들은 인기가 없어 지원자가 줄어들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의 소아과 의사 수는 여러 가지 이유로 감소하고 있다.
한 가지 이유는 많은 소아과 의사들이 근무 시간이 짧고 급여가 높은 다른 의료 분야에서 일하는 것을 선택하고 있기 때문이다.
소아과 의사들의 급여는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으나나 평균적으로는 월급이 약 8,000,000 원 정도로 추정된다.
다른 전공들도 급여는 각각 외과 의사들은 약 10,000,000 원 정도, 신경외과 의사들은 약 12,000,000 원 정도, 산부인과 의사들은 약 15,000,000 원 정도로 추정되고 있다.
또 다른 이유는 많은 소아과 의사들이 근무 조건이 더 나은 다른 나라에서 근무하는 것을 선택하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소아과 전공을 선택하는 의대생들이 줄어드는 것도 바람직하지 않은 전공이라는 인식 때문이다.
정부의 보건의료·보건교육 정책이 소아과 의사를 유지하고 유치하기에는 역부족이라는 점도 이유다.
병원 운영 측면에서도 어려움을 겪고 있어 개원 이후 폐업률 또한 높은 편이다.
국내 소아과 의료인력 부족 상황은 의료기관에서 제공하는 진료 서비스에도 영향을 미친다.
소아과 전문의가 부족하면 진료 시간이 짧아지고 진료대기 시간이 길어지게 된다.
이는 환자들이 적극적으로 의료 서비스를 이용하지 못하는 결과를 가져올 수도 있다.
또한, 소아과 전문의가 부족하면 진료를 받을 수 있는 병원이 제한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는 환자들이 원하는 의료 서비스를 제공받지 못하는 결과를 가져올 수도 있다.
이러한 이유로 소아과 전문의 인력 확보는 국내 의료 체계에서 중요한 이슈 중 하나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조치가 취해지고 있다.
- 의료인력 양성: 의대에서 소아과 전공 교육을 강화하고 의료 시설에서 인턴십 기회를 제공하는 등 의료인력 양성에 대한 정책을 수립하여 실행하고 있다.
- 의료인력 유치: 의료인력 유치를 위해 공공기관과 사업자들이 소아과 전문의를 채용할 때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것등 의료인력 유치를 위한 정책들을 수립하고 실행하고 있다.
- 의료인력 교육: 의료 시설들이 의료인력을 교육하는 것등 의료인력 교육을 위한 정책들을 수립하고 실행하고 있다.
- 의료 서비스 개선: 소아과 전문의를 적게 고용하는 의료 시설들을 찾아내고, 이들에 대한 개선조치를 취하고 있다.
이렇게 의료인력 양성, 유치, 교육, 의료서비스 개선등을 통해 소아과 의료인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또한, 소아과 의료인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의료 봉사활동, 의료 취업 지원 등 기타 정책들도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정책들로 인해 소아과 의료인력 부족을 해결하는 것은 쉽지 않은 문제며, 앞으로도 이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목성공포증 극복하려면 (0) | 2023.02.10 |
---|---|
골다공증 원인 예방법 알아보기 (0) | 2023.01.18 |
습설이란? 겨울철 눈길 운전 주의사항 알아보기 (0) | 2023.01.16 |
[에디슨] 그는 정말 위대한 발명가인가? (feat. 테슬라 & 웨스팅하우스) (0) | 2023.01.13 |
전자책 만드는 법 배우기 시작했어요~ (0) | 2023.01.12 |